신라의 민정문서가 왜 일본에 있었을까?

Posted by 밥쏬
2016. 4. 3. 07:04 삼국시대

민정문서 혹은 촌락문서라고 불리는 이 문서는 호구조사를 기록한

글입니다.

거기에는 인구 수 토지 면적,가축의 수 등이 적혀있는데 

지금 남아 있는신라의 민정문서는

서원경(현재 충청북도 청주)의 민정문서가 유일하게 남아있습니다.



이 문서는 지금 우리나라가 아닌 일본에 있습니다.

일본의 동대사라는 절의 정창원에서 1933년 발견되었는데 

신라의 민정문서가 어떻게 일본에 가게 되었을까요?

그 당시에는 흔했던 민정문서를 화엄경론이라는 책갑 내부의 포섬에 덧붙이는

종이로 사용해서 일본으로 가져갔다고 합니다.

그리고 1933년 화엄경론의 책갑을 수리하면서 발견하게 된 것이죠.




우리나라에는 현재 남아있는 신라의 민정문서가 없습니다.

발견되지 못한 것일수도 있겠지만 우리나라에 우리의 문서가 없고 일본에 있다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불행중 다행인 것이 일본에서라도 발견되지 않았더라면 

우리는 신라의 민정문서 존재자체를 몰랐을 수도

있습니다.

일본에라도 남아있는것이 그나마 다행이라고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