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VS 아편
유럽 특히 영국은 차를 매우 좋아하는 나라이다. 영국의 귀족들은 중국의 차를 수입하고 비단으로 만든 옷을 입는 등 중국문화에 빠져있었다.
영국은 청나라로부터 차를 수입하고 있었고 청나라는 영국으로 부터 막대한 은을 벌여 들였다.
영국 정치인들은 차를 수입하는데 너무 많은 돈을 쓰고 있었기때문에 이를 막기위한 노력을 해 왔지만 차열풍은 막을수 없었다.
당시 부유했던 청나라는 영국으로 부터 수입할 필요도 없었기때문에 영국은 청나라를 상대로 무역적자를 피할 수 없었다.
청은 당시 아편중독에 빠져있었다.
양귀비는 본래 약으로도 쓰였지만 아편으로 만들면 훨씬 효과가 빠르고 강하기 때문에 아편을 많이 사용했다.
청나라 사람들은 황실뿐만 아니라 관료, 일반백성들 까지 아편을 즐기고 있었다.
영국은 무역적자를 매우기 위해 인도에서 생산한 아편을 청에게 팔기시작했다.
아편에 쩔은 청나라 사람들은 아편을 마구 수입했고 영국과 청의 관계는 뒤바뀌었다.
청의 은이 영국으로 빠져나갔고 경제상황은 악화되어갔다. 위기감을 느낀 청은 아편금지령을 내리고 임칙서로 하여금 아편 수입을 막게했다.
청나라는 1840년 영국과 아편전쟁을 벌였다.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왕 세종대왕 조선시대의 육아휴직 (0) | 2017.09.09 |
---|